김두일 퍼틸레인 고문이 페이스북에 게재한 글을 편집한 뒤 모비인사이드에서 한 번 더 소개합니다.
1. 지적재산권(IP)
어떤 유력 미디어의 전문가께서 내게 질문을 던졌다.
“현재의 IP에 대한 시장의 뜨거운 반응이 언제까리 가시리라 보십니까?”
내 대답은 “올해는 작년보다 더 뜨꺼울 것이고 내년도까지는 상승세가 유지될 것입니다”라고 답변을 했다.
이유는 모바일게임의 경쟁이 치열해진 가운데 IP는 이제 시장에 접근하는 필수수단이 되었기 때문이고, 그 외에 새로운 대안이 아직까지는 없기 때문이다. 예전처럼 게임을 잘 만들어서 오픈마켓에 올리기만 하던 시절에서 마케팅이 필요한 시절로 진화했고 그게 대규모 마케팅을 해야 하는 시대로 발전했다. 이제는 여기에 IP도 안고 가야 성공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시대로 진화했기 때문이다. 잘만든 게임 + 대규모 마케팅 + IP… 아, 힘들구나 힘들어…
(그래픽 에셋 등이 포함된) 오리지널 게임IP에서 좀 더 다양한 형태의 수요로 IP에 대한 니즈가 늘어나고 있다. 과거에도 원소스 멀티유즈라는 그럴싸한 말이 유행했지만 이제는 현실화 되고 있다. 그리고 그 유행은 세계 최대 게임시장으로 부각한 중국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2. 경쟁
현재 텐센트가 전체 모바일게임 시장의 40% 정도를 점유하고 있다. 실제 애플스토어에서의 숫자로는 100위 안에 30개 정도를 항상 유지하고 있고 자사 안드로이드 마켓인 ‘잉용바오’ 마켓의 점유율 등을 합한 매출규모로는 대략 40% 이상 점유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는 셈이다.
내가 심심파적으로 중국 애플스토어 관련한 분석을 하는데, 매번 100위 안에 텐센트 게임이 몇 개인지 세어보던 습관이 있었다. 신기하게도 항상 30~35개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 텐센트는 매월 2~5개 이상의 게임을 출시한다. 텐센트는 100위권 또는 10위권 경쟁 밖으로 떨어지는 게임이 나오기가 무섭게 항상 새로운 게임들을 투입해서 차트에 진입시킨다. 억측일 수 있으나, 내가 보기에 텐센트는 마음 먹으면 50개도 올릴 수 있으나, 대략 30~35개 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전략적으로 옳다는 판단을 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그런데 이 구도에 변수가 생겼는데, 넷이즈라는 강력한 경쟁자의 부상이다. 1~2위를 빼앗긴다는 계산은 텐센트에 없었을 것이다. 그런데 넷이즈의 몽환서유, 대화서유의 원투펀치가 지금 장기 1~2위 체제가 유지될 전망이다. 텐센트 입장에서는 분통 터질 노릇인데, 의외로 재탈환이 안되고 있다. RPG, MOBA, IP, 물량공세 등 할 수 있는 건 다 해 보았는데, 요지부동이다. 여기에 야금야금 중위권 게임에 넷이즈 게임들이 하나둘 늘어가고 있다. 어느새 7~9개 정도의 넷이즈 타이틀이 차트에 올라와서 유지되고 있다.
2016년에도 원톱은 당연히 텐센트일 것이다. 하지만 점유율 면에서 작년처럼 압도적인 유지를 할지는 잘 모르겠다. 게다가 넷이즈도 지금 살벌한 라인업을 갖추고 그리고도 모자라 더 확보하려고 난리다. 개발자들도 쭉쭉 빨아들이는 중이다.
텐센트와 넷이즈의 1,2위 경쟁도 올해 중국 모바일게임 시장의 관전포인트다. 매우 유사한 모양으로 한국에서의 넷마블과 넥슨의 경쟁도 있다.
3. 신데렐라
- 2011년, 피싱조이를 서비스한 추콩
- 2012년, 롱즈지량(드레곤포스)를 서비스한 쓰촨의 디지털스카이
- 2013년, 마스터탱커를 서비스한 로코조이
- 2014년, 도탑전기를 서비스한 롱투게임즈
- 2015년, 전민기적을 서비스한 킹넷
4. 도전
2012년부터 한국 모바일게임의 도전은 꾸준하게 이뤄지고 있다. 현재 모바일 게임시장 규모를 볼 때 적어도 100억 이상의 로열티 수익을 거둬야 의미있는 성공이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것 같은데, 내가 알고 있기로는 아직 모바일에서 그런 사례가 없다. 매년 수천억원의 로얄티 수익을 거두는 던파와 크로스파이어가 여전히 건재한 것에 비하면 모바일에서의 도전은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그런 가운데 2016년에는 새롭게 출사표를 던지는 한국의 도전자들이 눈에 띈다. 넷마블, 넥슨, 4:33의 경우 많은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고, 강력한 IP파워를 가진 위메이드, 웹젠도 충분히 후보에 올릴만 하다. 그 외에도 기술과 경험, 자본의 힘을 갖춘 한국의 강자들은 충분히 중국시장을 더 늦기전에 노려볼 만 하다고 생각된다. 누가 그 중에서 첫번째로 성공의 과실을 딸 수 있을 것인가? 기대가 된다.
[fbcomments url=”https://s3.ap-northeast-2.amazonaws.com/mobiinsidecontent/index.php/2016/01/07/china_insight_mobile_game/” width=”100%” count=”off” num=”5″ countmsg=”wonderfu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