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크리에이티브 파트너스입니다. 최근 몇 년 동안 벤처기업에서 스톡옵션을 행사하신 분들이 아주 많으신데요, 대부분 몰라서 놓치고 있는 세제혜택이 있어서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스톡옵션을 행사할 때에 회사에 납입하게 되는 주금(=행사가 x 행사 주식 수에 해당하는 금액)에 대해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
소득공제는 종합소득세 과세 대상이 되는 소득에서, 공제 금액만큼을 차감하는 개념입니다. 예를 들어서 종합소득세 계산의 대상이 되는 소득 금액이 8천만원이고, 소득 공제를 3천만원 받는다면 5천만원에 대해서 종합소득세가 부과되는 것입니다.
어떤 경우에 받을 수 있나요?
두 가지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소득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첫째, 스톡옵션 행사 회사가 벤처기업이어야 합니다.
부여 당시에는 벤처기업이 아니어도 되지만, 행사 시점에는 벤처기업이거나 행사로 인한 증자 등기일로부터 2년 안에 벤처기업으로 인증을 받는 경우에만 소득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스톡옵션을 행사하고 개인이 회사에 주금을 납입하는 것을 출자 행위(투자)로 보아 소득공제 혜택을 주는 것이기 때문에, 투자시점으로 볼 수 있는 행사 시점에 회사가 벤처기업에 해당하는지가 기준이 됩니다.
둘째, 스톡옵션의 행사 방식이 “신주발행형”이어야 합니다.
스톡옵션을 행사하는 방식에는 신주발행형, 자기주식 교부형, 차액 정산형 세 가지가 있는데, 신주발행형으로 행사한 경우에만 소득공제가 가능합니다.
소득공제 받을 수 있는 금액은?
주금으로 납입한 금액(투자금액)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한도는 해당 과세연도의 종합소득 금액의 50%입니다.
회사는 뭘 준비해야 하죠?
- 회사는 연말정산 자료를 취합할 때, 스톡옵션 행사자에게 납입한 주금에 대해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안내하고
- 투자 확인서 발급하여 대상자에게 전달해 주시면 됩니다.
엔젤투자 지원센터에서 기업회원으로 가입 후
→ 기업 회원만 투자확인서를 발급할 수 있기 때문에 쉽습니다.
투자확인서 발급 시스템에서 투자 확인서를 발급
이미 종합소득세 신고가 완료된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소득공제는 스톡옵션을 행사한 연도를 포함하여 향후 2개년 중 하나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2024년에 행사를 했다면 2024년, 2025년, 2026년 중 하나의 연도로 선택이 가능합니다.
– 원문: https://blog.creativepartners.co.kr/2ba6dbe4-aedb-40b2-8111-e75e6eba25b7
– 저자소개:
You Create, We Support!
크리에이티브 파트너스는 더 큰 꿈을 향해 나아가는 스타트업과 크리에이터의 성공을 위해 세무/회계 서비스를 넘어 CFO 아웃소싱 서비스, 투자 자문 등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회사소개서 | 홈페이지 | 블로그 | 커뮤니티
해당 글은 크리에이티브 파트너스와 모비인사이드의 파트너십으로 제공되는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