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즈니가 FY4Q 2023(23년 7~9월)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디즈니는 영화, 애니메이션 등으로 쌓은 높은 브랜드 인지도로 한국인이 사랑하는 주식 상위권에 늘 위치하고 있습니다. 특히, 디즈니를 투자한 국내 투자자들은 최근 드라마 ‘무빙’으로 인한 디즈니 플러스 구독자 수 증가 등을 기대했을 것 같습니다.

 

실제 실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매출 : 212.4억 달러 (YoY 5%)
  • 영업이익 : 29.8억 달러 (YoY 86%)
  • 조정 EPS : 0.82달러 (YoY 173%)

흥미로운 점은 디즈니가 이번 실적 발표부터 사업 부문을 엔터테인먼트(리니어 네트워크, 스트리밍 D2C 서비스, 콘텐츠 판매/라이선싱), 스포츠(ESPN, Star), 익스피리언스(테마파크, 크루즈 등)로 구분해서 발표했습니다. 

 


 

각 사업부별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Entertainment

 

  • 디즈니 플러스 전체 가입자 수는 1.5억 명으로 증가 (특히, Disney+ Core 가입자가 690만 명 증가)
  • 특히, 미국 지역에서 가격 인상에도 불구하고 50만 명 증가했으며, 디즈니플러스가 포함된 DTC 부문의 적자 폭이 크게 감소하면서, Entertainment 사업부가 흑자로 전환
  • 팬데믹 기간 중에는 제작 수에 집중했는데, 더 적은 수의 프로젝트에 집중하면서 품질에 집중하려고 노력
  • DTC 사업의 경우에도 FY24 말에 흑자 전환을 예상하며, 향후 Hulu, ESPN까지 합쳐진 번들 요금제부터 광고 요금제 등을 활용해서 고객 확보 비용(CAC)을 낮추고, 마진을 개선하고 있음
  • 리니어 채널의 경우는 ABC 네트워크 등 TV 방송 광고 수익 감소로 매출이 역성장
(참고) 리니어 채널 Linear Network의 의미는 매체가 사용자의 방해 없이 처음부터 끝까지 쭉 재생되는 콘텐츠 채널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영화관에서 보는 영화나 일반적인 TV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Experiences

 

  • 월트 디즈니 월드는 50주년 행사 이후 랩핑 효과 지속
  • 하지만 중국 상하이, 홍콩 등 테마파크의 입장객 증가 및 입장료 인상 효과로 인한 실적 개선

 


 

 

디즈니가 스포츠를 분리한 이유

 

 

(사진 – Tiktok )

 

이번 실적 발표 중 흥미로운 점은 스포츠를 따로 분리했다는 점입니다. 디즈니는 스포츠 사업의 성장성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 ESPN이 틱톡에서 약 4,400만 명의 팔로워를 보유한 1위 브랜드라는 점에서 이들이 가진 성장성을 언급했습니다. 특히, 이 ESPN을 지금처럼 리니어 채널로 활용하지 않고, 최고의 디지털 스포츠 플랫폼으로 전환시킬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실제 디즈니는 스포츠 베팅 사업에도 관심을 보일 정도로 스포츠에 진심인 상태입니다. 

 

 

ⓒ Apple

 

비단, 스포츠에 대한 관심은 디즈니만 보이는 것이 아닙니다. 이미 국내 및 해외 OTT서비스 업체들은 스포츠에 큰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애플은 Apple TV+ 가입자에게 미국 메이저리그 축구(MLS) 경기를 독점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를 위해서 아디다스와 함께 축구 전설 리오넬 메시가 MLS로 이적할 수 있도록 돕기도 했습니다.

심지어 넷플릭스도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물론 넷플릭스는 이미 스포츠와 관련된 다큐멘터리 등으로 스포츠 팬들의 관심을 끌었지만, 따로 중계를 하는 것은 없었습니다. 그러다 작년 6월 12일에 넷플릭스가 직접 골프대회를 열고, 넷플릭스 다큐멘터리에 나왔던 선수들이 출전시키고 이를 생중계할 것이라는 발표를 했습니다. 

그 밖에 쿠팡플레이는 한국프로축구연맹과 파트너십을 체결하면서, 2023년부터 2025년까지 독점 유료 중계권을 확보하는 등 스포츠에 대한 투자를 적극적으로 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렇다면 OTT서비스에서 스포츠를 적극적으로 공략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크게 콘텐츠 소비에 대한 인식 변화, 구독자 이탈 방지 효과, 그리고 광고 계정의 ARPU 극대화에서 그 이유를 찾아봤습니다.

 

 


 

 

1. 콘텐츠 소비에 대한 인식 변화

 

디즈니의 CEO 밥 아이거에게 전략적인 자문을 하는 케빈 메이어는 사람들은 항상 스포츠에 많은 돈을 지불해 왔다고 말합니다. 우리가 보는 방송과 관련된 비용에서 스포츠와 관련된 비용이 매우 크게 녹아져 있었다는 의미입니다. 시대가 변했고, 지금은 이와 관련된 비용을 당당하게 요구할 수 있기 때문에, ESPN과 같은 스포츠를 새로운 성장축으로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는 사람들이 콘텐츠 소비에 대한 인식이 달라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서, 당연히 무료로 볼 수 있는 것들이 아니라 모든 콘텐츠에 대해서는 정당한 대가를 지불해야 한다는 인식이 퍼진 것입니다. 

스포츠의 경우, 과거에는 TV를 틀면 무료로 볼 수 있는 것들이 많았습니다. 특히, 월드컵이나 올림픽과 같은 국가 대표경기를 다른 금전적 지출 없이 보던 것이, 스포츠 콘텐츠 소비의 시작점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스포츠 영상 소비에 대가를 요구하기 쉽지 않았습니다. 다만, TV보다 OTT를 활용하는 이용자가 확산되면서, 콘텐츠 소비에는 당연히 대가를 지불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됐습니다. 이런 인식이 스포츠에도 적용되면서, 많은 OTT들이 스포츠에 뛰어들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이 부분은 아직 국가 간 차이가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최근 유튜브 ‘B주류경제학’에 출연한 티빙 TVing 사업 본부장님께 ‘쿠팡플레이처럼 K-리그를 가져오는 것을 고려한 적 있냐’는 질문에 전혀 그렇지 않다고 대답을 했습니다. 스포츠는 매력적인 콘텐츠지만, 아직 국내 시청자들에게는 과금을 하고 시청할 동기가 약하기 때문이라는 점이 그 이유였습니다.

반면, 쿠팡플레이의 경우 이미 1,000만 명이 넘는 로켓와우 멤버십 가입자가 존재하기 때문에 스포츠를 보기 위해 돈을 지불하는 구조였더라도 상대적으로 심리적 저항선을 낮추면서 운영하는 것이 가능했던 것 같다고 그 이유를 꼽았습니다. 이런 것 보면 남에게 매력적인 사업이어도, 우리에게 맞는 사업인지 검토가 필요하다는 것을 다시금 느끼게 됩니다.

 

 


 

 

2. 구독자의 이탈 방지

 

저도 기본적으로 가족 모두가 골고루 보는 넷플릭스, 중드를 좋아하시는 아버지를 위한 네이버 멤버십과 연결한 티빙, 여기에 로켓와우 때문에 갖고 가는 쿠팡플레이, 이 3가지의 OTT를 구독하고 있습니다. 그러다 최근 디즈니 플러스에 무빙이 올라왔을 때 한 달을 바짝 몰아서 보고 취소하기도 했습니다. 특히, 쿠팡플레이처럼 일종의 ‘덤’으로 오는 서비스들도 있다 보니, 구독자들을 지속적으로 붙잡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됩니다.

스포츠는 지속적인 콘텐츠 제공이 가능합니다. 보통 축구나 야구처럼 시즌제로 운영되는 스포츠는 휴식기 잠깐을 제외하고 계속 경기를 진행합니다. 그렇다 보니, 매번 무빙이나 오징어게임 같은 콘텐츠를 만들기 어려운 OTT 서비스들 입장에서는 스포츠 팬이라는 확실한 팬덤을 진득하게 붙잡아 둘 수 있는 매력적인 사업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 인기를 끌고 있는 드라마 ‘이두나!’의 제작비가 200~300억이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중계권료로 100~200억 정도 지불할 경우 ROI가 괜찮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K리그의 수익 구조상 중계권료가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절대적이다. 실제 연맹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약 370억 원의 수입 중 약 110억 원이 중계권료 수입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절대적인 비중에 비해 그 규모는 경기력이 떨어지는 타 아시아 리그의 중계권료와 큰 차이가 없었다.

– K리그 & 쿠팡플레이 파트너십 파헤치기 (2023.07.06 뉴스프리존)

 

 


 

 

3. 광고 계정의 ARPU 극대화

 

마지막으로는 광고 매출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제공할 경우, 특정 시간대에 높은 트래픽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보통 광고를 보면, 추천 알고리즘에 따라서 광고를 노출시키는 것도 있지만 네이버 메인화면 배너처럼 아예 특정 시간대에 구좌를 다 구매하는 광고상품도 존재합니다. 

올해로 57회를 맞은 슈퍼볼의 광고단가는 30초에 최대 700만 달러(한화 약 86억2050만원)로, 초당 2억8000만원을 훌쩍 넘겼지만 여전한 인기를 자랑했다. 폭스의 메이저 스폰서 브랜드들은 지난해 슈퍼볼 광고 단가인 650만 달러(약 80억475만원) 수준에 광고를 구매한 것으로 전해졌다.

– “30초에 최대 700만 달러”… 세계 최대 광고판 ‘슈퍼볼 2023’ 매진 임박 (BrandBreif, 2023.02.01)

OTT서비스도 이런 광고 모델을 만들 수 있습니다. 위의 슈퍼볼 결승전처럼 매우 의미있고 인기있는 경기에는 더 높은 광고 단가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며, 그 밖의 스포츠 경기 및 스포츠 클립 영상 등에도 광고 상품을 함께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경민님이 브런치에 게재한 글을 편집한 뒤 모비인사이드에서 한 번 더 소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