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혹한기, 스타트업, 스타트업불황, 물류, 유통, 투자, 로지켓

 

 

스타트업 업계는 지금 투자혹한기 입니다. 이 위기를 어떻게 타파하면 좋을지 스타트업들의 현재 상황에 대해 알아보세요.

 

목차

1. 1조원→2000억원 ‘부릉’

2. 매각설 ‘왓챠’, 겨우 ‘38억원’ 조달

3. 긴장하는 스타트업 업계

4. 국내 유니콘 4곳 중 3곳은 ‘내수 중심’

    • 4.1 글로벌 스타트업, 매출-고용 등 경제적 효과 커
    • 4.2 정부 “‘K스타트업’ 글로벌 진출 지원 강화”

 

 


 

 

1. 1조원→2000억원 ‘부릉’

 

 

출처. 부릉 홈페이지 (https://rider.vroong.com/)

 

 

업계에 따르면, 최근 메쉬코리아는 네이버, 현대자동차, GS홈쇼핑 등에 500억원 규모의 증자를 요청했습니다. 신규 투자자를 구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기존 투자 주주들에게 마지막 증자를 호소한 것입니다. 창업주이자 지분 14.68%를 보유한 유정범 이사회 의장 명의로 서면이 전달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지난 2월 메쉬코리아는 운영 자금 마련을 위해 유정범 의장과 김형설 부사장 지분을 담보로 오케이캐피탈에 고금리로 360억원을 대출받았습니다. 이에 지난달 15일이었던 만기를 일시 연장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그러나 연장 과정에서 법정관리 및 M&A 진행이 언급됐습니다. 만약 대출금을 빠른 시일 내에 상환하지 못하면 네이버 등 기존 투자 주주들의 지분도 소각될 위험이 있습니다.

메쉬코리아는 이륜차 기반의 배달대행 플랫폼 ‘부릉’ 운영사입니다. 지난해만 해도 1조원 수준의 기업 가치를 주장하며 100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누적 투자금만 1762억원입니다. 하지만 현재 기업 가치는 2000억원 수준으로 폭락했습니다. 올 초 700억원에 달하는 신규 투자 유치에 나섰지만, 시중 금리 인상 및 실적 악화 등으로 실패했습니다. 현재는 경영권 매각을 추진 중입니다.

그러나 사려는 사람이 없습니다. 새벽배송, 풀필먼트(물류통합관리) 등 사업 확장에 열을 올리는 사이 지난해 적자는 365억원으로 늘었습니다. 누적결손금은 1100억원대가 넘습니다. 실적 악화로 투자가 경색되자 고강도 구조조정 및 이륜차 부문 제외 사업 정리 등을 단행했습니다. 아직까지도 경영권 매각에는 별 소득이 없습니다.

 

 

2. 매각설 ‘왓챠’, 겨우 ‘38억원’ 조달

 

 

출처. 왓챠 홈페이지 캡처.(https://watcha.com/)

 

 

국내 토종 OTT 플랫폼 왓챠도 비슷한 상황입니다. 경영난으로 인한 매각설과 함께 투자 유치에 나서고 있지만 쉽지 않습니다. 

업계에 따르면, 왓챠는 최근 38억원 규모의 긴급 자금 조달에 성공했습니다. 창업자 중 하나인 박대훈 대표의 개인적 네트워크로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하지만 현재 왓챠의 경영난을 완전히 해소하기에는 불충분한 수준입니다.

이 과정에서 인정된 기업 가치는 780억원 수준입니다. 올 상반기 프리 IPO(상장 전 지분투자) 추진 당시에는 5000억원의 기업 가치로 1000억원을 투자 받으려 했습니다. 1년도 채 안돼 기업가치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줄어들었습니다.

왓챠는 지난 2월 웹툰과 음원을 아우르는 종합 콘텐츠 구독 플랫폼으로의 진화를 선언, ‘왓챠 2.0’ 확장에 나섰습니다. 하지만 투자 난항으로 매각설이 불거지며 해당 프로젝트도 지연됐습니다. 약 8개월만인 지난달 웹툰 서비스가 출시됐습니다.

그 사이 왓챠의 월간이용자수(MAU)는 폭락했습니다.  아이지에이웍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135만명에 달하던 왓챠 MAU는 올해 10월 기준 86만명으로 뚝 떨어졌습니다. 넷플릭스, 티빙, 웨이브 등 공룡급 OTT들 사이에서 경쟁력 약화가 원인으로 꼽힙니다.

 

 

3. 긴장하는 스타트업 업계

 

메쉬코리아, 왓챠 등 내로라하던 벤처기업들이 휘청이면서 업계 전반에 위기감이 팽배합니다. 지난해와 전혀 다른 분위기에 당근마켓, 마켓컬리 등 이미 유니콘 반열에 오른 기업들도 안심할 수 없습니다.

지난해까지 적자를 감수하며 사업 확장에 힘썼다면, 최근에는 수익성 강화를 통한 내실 다지기에 주력 중입니다. 일례로 당근마켓은 지난 6월 프랜차이즈 기업을 대상으로 ‘브랜드 프로필’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앞서 동네 소상공인을 제외한 대기업 광고는 받지 않겠다던 기존의 방침을 깨고 수익성 개선을 선택한 것입니다.

벤처업계 관계자는 “하반기 들어 벤처투자 시장은 말 그대로 꽁꽁 얼어붙었다”며 “신사업 발굴 등 잠재성 있는 곳에 도전해 성장하는 게 아니라 지금 당장 수익을 낼 수 있다는 걸 보여주는 것이 필요할 때”라고 말했습니다.

 

 

4. 국내 유니콘 4곳 중 3곳은 ‘내수 중심’

 

9일 스타트업계와 중소벤처기업부 등에 따르면 국내 유니콘(기업가치 10억 달러 이상의 기업) 24곳 중 75%가 내수 중심 업체입니다. 해외 매출이 전체의 25% 이상인 글로벌 기업 비율은 한국이 7.0%로 영국(18.9%), 독일(18.0%), 일본(17.2%), 미국(9.5%)보다 낮습니다.

최근 열린 국내 최대 스타트업 행사 ‘컴업 2022’에서 박재욱 코리아스타트업포럼 의장(쏘카 대표)은 “높이 올라갔던 만큼 떨어지는 속도도 빠르게 느껴진다”며 “어떻게 생존해서 다음을 기약할지가 중요한 시기”라고 말했습니다.

‘우물 안 스타트업’으로는 신(新)산업 경쟁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글로벌화를 추진하며 딥테크(deep-tech) 창업을 육성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글로벌 스타트업은 경제적 효과가 큽니다. 해외 매출이 20%가 넘는 스타트업은 평균 매출(58억 원)과 고용(23명)이 내수 스타트업보다 2배가량 더 높습니다. 스타트업도 좁은 내수 시장보다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 사례를 만드는 게 후속 투자나 사업 확장에 더 유리합니다.

실제 해외 진출 가능성이 높은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바이오 등 신산업 창업 비중이 13%일 정도로 늘고 있습니다. 올해 유니콘에 등극한 6곳 중 3곳은 원천기술을 기반으로 한 딥테크 기업이었습니다. 창업 2년차 AI 스타트업 ‘업스테이지’가 대표적입니다. 이곳은 개발자 60명 중 10명이 해외에서 재택근무를 합니다. 현지의 우수한 개발자를 채용한 것이죠. 이 회사의 AI 팩은 최근 국내 기업의 납품 수주전에서 아마존웹서비스(AWS) 등을 꺾고 계약을 따냈습니다. 거래 전환율이나 클릭률 등이 AWS보다 1.5배 이상 좋다는 점을 높이 평가받았습니다.

설립부터 글로벌을 겨냥한 경우도 있습니다. 올해 기업가치 3조6000억 원으로 평가받으며 국내 1호 농식품 유니콘에 오른 농축산물 무역 플랫폼 ‘트릿지’, 35개국 작가들이 만든 이모티콘을 5개 언어로 글로벌 2000만 명에게 서비스하는 스타트업 ‘스티팝’ 등이 있습니다.

 

 

 

 

4.1 글로벌 스타트업, 매출-고용 등 경제적 효과 커

 

하지만 대다수 스타트업은 해외에 진출하기가 녹록지 않은 게 현실입니다. 상업용 부동산 데이터스타트업 ‘알스퀘어’는 베트남 진출 시 시장 조사에 애를 먹었습니다. 알스퀘어 관계자는 “현지 진출 기업 간 협의체가 활성화되면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었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미국 일본 등에 K콘텐츠를 번역해 파는 구독 플랫폼 ‘클래스101’ 관계자는 “글로벌 경험을 갖춘 인력이 필요한데 개별 스타트업만으로는 감당하기 힘들다”고 말했습니다.

이는 제2의 벤처 붐을 일구며 정부가 창업지원 정책을 쏟아냈지만 스타트업의 글로벌화 지원에 초점을 맞춘 것은 극히 일부인 것과 무관치 않습니다. 스타트업 글로벌 지원정책이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별로 따로 운영되고 범정부 차원에서 글로벌 대기업, 해외 VC 등 민간 지원을 아우르는 체계가 미흡했습니다. 해외 진출 단계별로 글로벌창업사관학교 등 지원 프로그램이 있지만 초기와 중기 투자에 국한됐다는 한계도 있었습니다.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국내 스타트업은 빠르게 성장했지만 글로벌 부문은 아쉽다”며 “국내 스타트업이 세계적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게 다음 미션”이라고 했습니다.

 

 

4.2 정부 “‘K스타트업’ 글로벌 진출 지원 강화”

 

전문가들은 스타트업 육성 모델로 프랑스 ‘라 프렌치 테크(La French Tech)’나 싱가포르 ‘스타트업 SG’를 주목합니다. 스타트업 브랜드를 만들어 해외에 거점을 두고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등 정부가 국내외로 스타트업 생태계를 다각적으로 조성하는 것입니다.

우리 정부도 ‘K스타트업’이란 브랜드를 만들어 대기업 등의 글로벌 네트워크나 인프라를 활용해 5년간 해외 진출 스타트업을 5만 개로 늘릴 계획입니다. 기존의 ‘뿌려 주기식 지원’ 대신 매년 초격차 스타트업 300곳을 집중 지원해 글로벌 역량을 키우고, 상위 20곳에는 기업당 최대 10억 원의 후속 스케일업 투자를 진행합니다.

올해 6조3000억 원 규모인 글로벌 펀드도 내년 8조 원으로 늘립니다. 박용순 중기부 창업진흥정책관은 “글로벌 펀드가 K스타트업의 후속 스케일업을 지원하는 동시에 현지 기업들과 네트워크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해당 콘텐츠는 로지켓과의 파트너십으로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