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우리의 다짐과 실행이 미래의 인류를 위한 것이라면?

 

 

영화 <승리호>는 2092년을 배경으로 한다. 이미 지구는 병이 들어 황폐해졌고 푸른 하늘은 온데간데없이 황색의 모래바람만 쓸쓸하게 나부낀다. 지구 바깥에는 UTS라 불리는 새로운 보금자리가 생겼는데 인류의 5%만 살 수 있다고 한다. 맷 데이먼 주연의 <엘리시움>은 서기 2154년이라는 미래 배경의 SF 영화로 <승리호>와 비슷한 설정을 가져간다. 지구는 이미 버림 당한 행성으로 가지지 못한 비기득권 인류만 겨우 남아있을 뿐이다. 반면 선택받은 인류의 상위권 계층만 엘리시움이라는 유토피아에서 마음껏 누리며 살 수 있다. 영화 제목인 ‘엘리시움(Elysium)’이라는 영단어는 극락, 이상향을 의미한다. 

<승리호>나 <엘리시움> 모두 인공지능과 로봇이라는 첨단 테크놀로지를 영화 곳곳에 배치하기도 하지만 결국 황폐해진 지구라는 설정을 비슷하게 가져가고 있다. 미래를 배경으로 하는 다수의 SF 작품들에서 더할 나위 없이 아름다운 지구는 왜 좀처럼 볼 수 없는 걸까? 인류를 잉태하고 자연을 품고 있는 이 기름진 토양 위에서 우리는 푸르른 하늘을 바라보며 살아있음을 느낀다. 지구란, 끝을 알 수 없는 광활한 우주에서 어쩌면 유일무이한 보금자리 일지도 모를 일이다. 그러니 지켜야 한다. 첨단 테크놀로지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지구를 살릴 수 있는 친환경이다.  

 

 

영화 <승리호>의 도입부. 출처 : netflix

 

 

인류는 오랫동안 내연기관을 통해 수차례의 산업혁명을 일으켰다. 증기기관으로 인한 대량생산은 1차 산업혁명이라는 이름으로 새겨졌고 전기의 발명과 인터넷의 탄생은 거대한 변화를 몰고 왔다. 이제 우리는 4차 산업혁명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기술은 날이 갈수록 발전했고 지구에서 끝도 없이 뿜어져 나오는 자원을 통해 살아왔다. 지구온난화와 해수면 상승이라는 키워드가 점철되고 있음에도 우리는 그 변화에 획기적인 대응 없이 적절하게 적응만 하며 살았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겠다. 하지만 1997년 교토의정서나 2015년 파리 협정 모두 기후 변화에 대한 범국가적 다짐이었고 다수의 주요 국가가 이에 앞장서기 시작했다. 유럽, 미국 그리고 우리나라 역시 탄소제로를 위한 구체적 실행 방안을 수립하기에 이르렀다. 현대자동차그룹 또한 내연기관을 연구하는 조직 대신 전기차에 집중하고자 과감하게 개편을 단행하기도 했다. 일본의 닛산자동차 역시 엔진 개발 중단을 선언하기도 했다. 당연하지만 전기 또는 수소 등 대체 에너지로의 자연스러운 변화, 그리고 탄소 중립과 친환경을 위한 일종의 다짐이고 실행이다. 스웨덴 태생의 볼보는 폴스타(Polestar)라는 전기차 브랜드를 전면에 내세웠고 우리나라에도 2022년 상륙했다. 중국의 지리자동차가 모회사로 있는 폴스타는 자동차 제작 공정 자체를 모두 친환경으로 바꾸어 완벽한 탄소중립을 꾀하고 있다. 

 

 

 

 

탄소중립이나 탄소제로 등과 같은 키워드와 함께 자주 언급되는 단어가 바로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다.’ESG’라는 키워드 속에서도 환경(Environment)은 존재한다. ESG는 국내외 개별 기업은 물론이고 자본 시장을 뒤흔들 수 있는 지속 가능성을 이야기하고 있어 한 국가의 성패를 가를 수 있는 투명경영을 의미한다. 결국엔 탄소중립, ESG, RE100(기업이 사용하는 전력 100%를 풍력,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친환경 캠페인이다)과 같은 키워드는 지금 우리가 반드시 지키고 실행해야 할 다짐인 것이다. 이러한 다짐은 사실 기업뿐 아니라 하나의 장기 프로젝트이자 캠페인으로서 개개인 역시 실천할 수 있어야 하겠다. 플라스틱을 줄이고 1회용 대신 다회용 컵을 사용하는 것, 설거지도 녹아 없어지는 고체비누를 사용하는 등 아주 작은 것부터 실행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오랜 시간 자리해왔던 우리의 습관들을 단숨에 바꿀 순 없겠지만 작은 실천으로 거대한 변화를 일으킬 수 있으면 좋겠다. 

혹자는 극단적으로 지구의 변화를 이야기했다. 이러한 다짐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우리가 살아 숨쉬는 이 대기의 온도가 1도씩 차츰 오른다고 했다. 고작 1도에 불과하지만 지구에 끼치는 영향은 실로 어마어마하다. 대기 온도가 1도~2도씩 상승하면 북극의 빙하는 더욱 처절하게 녹아내릴 것이고 아마존의 울창한 열대우림 역시 물속에 가라앉아 서서히 사라져 가게 될 것이라고 했다. 더불어 물 부족과 인구 과잉으로 인한 식량 문제는 영화 속 한 장면처럼 디스토피아가 되어 다음 세대가 직접 목격하고 경험하게 될지도 모른다. 하지만 변화는 시작되었다. 100년을 넘게 이어온 내연기관의 종말이라는 것 자체가 어쩌면 테크놀로지의 가장 큰 변화라 할 수 있겠다. 지금 우리가 다짐하고 실천하고 실행하는 그 과정의 결과물이 미래의 인류와 이 땅에에 오롯이 전해지게 될 것이다. 

 

 

해당 콘텐츠는 Pen잡은 루이스님과 모비인사이드의 파트너쉽으로 제공되는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