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전문 리서치 스타트업 ‘피넥터’ 팀이 브런치에 게재한 글을 편집한 뒤 모비인사이드에서 한 번 더 소개합니다

문제 인식

오랫동안 유지된 은행들의 전통적 결제/장부 네트워크를 대체하기 위해서는 분산장부의 법적 이해관계가 명확해야 한다. 즉 누가 자본을 얼마나 어떻게 보관하고 있고 그것을 누가 어떻게 증명하느냐를 명확히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물론 비트코인처럼 익명의 거래증명자(채굴자)를 기반으로 한 프로토콜에선 불가능한 일이다. 가장 긴 체인이 결제의 정당성을 가지지만, 그 체인은 꾸준히 교체(포크)되어왔으며 교체 전 결제에 대한 정당성을 법적으로 증명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또 익명의 거래증명자(채굴자)는 인센티브가 유일한 목적일 뿐 자금이 불법적으로 사용되든 테러리스트에게 송금되든 신경쓰지 않고 알 수도 없다.

금융시스템에선 결제가 일어난 후 일정기간 동안 청산(settlement) 과정을 거친다. 그 과정 속에서 법적/기술적으로 소유권이 증명되면 다시 되돌릴 수 없게 되는데, 이는 바로 거래의 모호성(ambiguity)이 금융거래에선 아주 큰 시스템적 문제이기 때문이다. 비트코인은 거래의 모호성을 대량의 컴퓨팅 파워를 이용한 채굴(Proof-of-Work)로 해결한다. 즉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결제는 “증명이 가능한 법적 증거”로 청산되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에 분산된 익명의 사람들의 컴퓨팅 파워로 청산되는 것이다.

기술적으로 환상적인 아이디어였지만 현실성을 감안했을 때 검열 저항적(censorship-resistant)인 프로토콜인 비트코인은 은행 간의 청산결제 시스템으로 부적합하다. 비트코인은 P2P 화폐로서 충분히 훌륭하지만, 애초에 설계되지 않은 분야로 확장하려는 것은 마치 맞지 않는 옷을 억지로 입으려는 것과 같다.

블록체인의 종류

블록체인도 여러 가지 형태가 있고 각 사용 용도에 맞게 응용이 가능하다. 비트코인이 곧 블록체인이라는 개념만 버리게 되면 금융기관의 입장에서 블록체인의 혁신을 이해할 수 있다.

1.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

퍼블릭 블록체인은 어느 누구나 열람/송금이 가능한 공개된 형태의 블록체인으로서 컴퓨팅 파워를 이용한 채굴(Proof-of-Work) 과정을 통해 거래의 정당성을 인증함. 개인 또는 중앙기관의 영향을 받지 않는 탈중앙화, 분권화된 시스템으로 여겨짐.

2. 컨소시엄 블록체인(Consortium blockchain)

컨소시엄 블록체인은 미리 선정된 노드에 의해서 컨트롤되는 반 중앙형 블록체인. n개의 금융기관이 노드를 한 개씩 운영하고 각 기관의 노드 간 동의가 일어나야 거래가 생성됨. 블록체인의 기록 열람 권리를 퍼블릭 블록체인처럼 대중에게 부여 할수도 있지만, 참여자(eg. 금융기관)에게만 제공하거나 API를 통해 특정 인원에게만 공개할수도 있음.

3.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완전히 개인화된 블록체인으로서 한 중앙기관이 모든 권한을 가지며 네트워크에 참여하기 위해선 그 중앙기관의 허락이 필요함.

금융기관은 당연히 컨소시엄이나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선택할 것이다. 비트코인과 같은 퍼블릭 블록체인은 앞에서도 언급했지만 금융기관의 블록체인 응용 목적인 법적 정당성, 효율성, 거래속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해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3

금융기관만의 블록체인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채굴 과정이 필요한 이유는 바로 많은 노드의 수로 네트워크를 장악하는 Sybil attack(DDOS 공격)을 막기 위해서다. 노드의 수가 아닌 컴퓨팅 파워에 증명권리를 부여하면서 소수의 네트워크 장악을 막는 채굴은 천재적인 아이디어지만 네트워크 유지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만약 거래를 증명하는 유일한 개체가 은행이라면? Sybil 공격 자체가 불가능하고 네트워크 유지비용은 제로가 된다. 물론 탈중앙성이라는 아주 중요한 이념적 가치를 잃게 되지만 은행은 탈중앙화엔 관심 없다.

금융기관은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저비용의 빠르고 효율적인 청산/결제 시스템을 구현하길 원한다. 금융기관의 장부시스템은 명확한 법정 이해관계를 위해 “화폐”적 기능이 없고 내부에서 거래를 증명하는 반공개 형태여야 한다. 또 다양한 금융자산을 위해 각 자산에 맞는 장부시스템을 구축하고 실시간으로 거래가 가능해야 한다. 즉 각 금융기관이 공유와 복제가 가능한 장부를 분산 보관하여 기존의 중앙 데이터베이스를 없애고 더 효율적으로 청산과 결제를 하자는 것이다. 이로서 실시간으로 안전하고 저렴한 금융거래가 가능하다.

1
기존의 청산 시스템
분산 장부형 청산 시스템
분산 장부형 청산 시스템

Clearmatics, Hyperledger 등의 팀들이 비트코인 블록체인의 한계를 인지하고 위와 같은 형태의 전통 금융기관들을 위한 분산장부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만약 실제로 대부분의 은행이나 금융기관이 이런 형태의 분산장부 시스템을 받아들인다면 수백조에 달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기존의 2~3일이 걸리던 거래속도는 실시간으로 바뀔 수 있다.

이렇게 블록체인의 기술적 파급력은 엄청나다. 청산시스템 이외에도 국제송금, 소액결제, 트레이딩, P2P 렌딩, 주식 증명 및 발행, 크라우드펀딩, 사물인터넷, 자동 결제/송금 시스템, 도메인 시스템, 데이터 마이닝, 예측시장, 데이터 증명, 데이터 기록 등 블록체인은 많은 분야에서 혁신한다. 국내에도 많은 블록체인 관련 스타트업들이 생겨나길 기대한다.

88x31

 

 

[fbcomments url=”http://ec2-13-125-22-250.ap-northeast-2.compute.amazonaws.com/2017/04/10/blockchain_4/” width=”100%” count=”off” num=”5″ countmsg=”wonderfu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