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조한님이 자신의 블로그에 정리한 내용을 모비인사이드에서 편집, 정리했습니다.
AT&T와 TimeWarner(타임 워너)의 합병이 공식적으로 발표됐습니다.
$853억 달러! 우리나라 돈으로 94조 원이 넘는 금액입니다. 국가 승인이 남아있지만, 많은 언론들이 여러가지 이야기들을 내놓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재미있는 것은 힐러리는 찬성하고, 트럼프는 반대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시너지가 보이지 않는다?
부정적인 부분들도 많이 언급하시는 것 같습니다. 2009년 컴캐스트가 NBC 유니버설을 인수할 때도 비슷했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말이죠. 지금은 어떤가요? NBC는 든든한 컴캐스트 덕분에 플랫폼과 콘텐츠의 시너지 플레이를 정말 잘 내고 있습니다. 스포츠 분야에서 특히 그렇지요. 망했다는 리우 올림픽도 컴캐스트가 플랫폼 플레이를 잘 해준 덕분에 많은 유료방송 사업자들도 그들의 레퍼런스를 보고 잘 따라왔습니다.
콘텐츠가 있기에, 더 플랫폼(최근 이름이 바뀌었습니다 – 컴캐스트 테크놀로지 설루션)이라는 플랫폼 업체를 인수해 다양한 시험을 해볼 수 있었고 엑스피니티를 가지고 플랫폼 사업을 시작할 수 있었습니다.
현재는 플랫폼 사업자들이 마음대로 할 수 없는 시대입니다. 콘텐츠 사업자들의 동의 없이 말이죠.
애플이 CBS와 NBC의 반대로 스키니 번들 비즈니스를 할 수 없었던 것처럼 말이죠.(구글은 똑똑하게 두 업체를 우선 협상자로 선정했습니다. 협상 중입니다. 실시간 방송을 지향하는 내년에 발표될 유튜브 언플러그드의 핵심은 CBS, NBC의 확보입니다.)
이제는 앞으로 AT&T가 무얼 하던 플랫폼 사업자들은 반대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반대하지 못할 것입니다.
컴캐스트가 그랬던 것처럼, HBO, CNN, TNT, TBS라는 무기는 고객들을 상대로 하는 것이 아닙니다. 사업자들과의 동의를 얻기 위해 활용될 것입니다. 그리고 그들이 보여주는 행보는 NBC의 그것처럼 많은 변화가 있을 것입니다.
그럼 경쟁자들은 무얼 하고 있나요?
1) Comcast
컴캐스트는 버즈피드(뉴미디어 업계, 특히 페이스북에서 기세를 펴고 있습니다)에 2억 불을 다시 투자했습니다.
왓쳐블에 운명을 거는 것일까요? 왓쳐블 오리지널은 올 가을부터 TV와 모바일에서 볼 수 있습니다.
MNO 사업자(통신 사업자)의 꿈을 버리지 않고 있지요. 현재 분위기론 T-Mobile인수를 발표해도 이상하지 않을 듯합니다. 루머는 계속 있습니다. 일단 MVNO로 갈 듯합니다.
NBC는 재미를 못 봤지만, 모회사인 컴캐스트는 리우 올림픽에서 재미를 보았습니다. 35% 사용자가 Voice를 통해서 Sports App 서비스를 만끽했습니다. 스포츠 분야에 강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2) Verizon
버라이즌은 모바일 스포츠 서비스에 정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스포츠 시청률을 갉아먹을 수 있다는 걸 증명하고 있습니다. (NFL을 트위터와 함께 GO90에서 중계하고 있습니다.) 덕분에 TV에서 NFL시청률이 10% 이상 빠졌습니다. 본격적으로 NBA에도 투자하는데요.
버라이즌은 IPTV 부분 중 프런티어에 Legacy STB 서비스를 넘겼습니다. IPTV 관련은 OnCue(Intel에서 인수)를 이용해서 내년에 서비스 시작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3) Dish
작년 1월에 Sling TV를 발표했던 미국 2위 위성 사업자인 디쉬는 어떨까요?
AT&T는 디렉티비에 가입자를 이관하면서 가입자 이탈이 있지만, 보내줄 곳도 없는 디쉬는 가입자가 쭉쭉 빠지고 있습니다. 2년 동안 1백만 명 이상 잃었습니다.
인터넷 TV의 시초가 된 Sling TV는 아직도 1백만 명이 안되고 있습니다. 평균 지불 비용 자체가 게임이 안 되는 슬링 티브이($20)와 디쉬($60 이상)는 가입자가 그대로 옮겨간다 해도 손해인 장사이기 때문에 그래서인지, 디쉬의 최신 셋톱인 Hopper 3 DVR은 올 1월에 많은 기능(4K HDR 등)을 내장하여 신제품을 공개했습니다.
컴케스트보다 넷플릭스를 가장 먼저 내장한 유료 방송 사업자가 됐습니다. 실제 적용은 6월이었습니다.
디렉티비와 함께 리우 올림픽에서 재미를 본 사업자입니다. 많은 사용자는 아니었지만 말이죠.
그런 그들이 사실상 유료방송사업자들에게 가장 필요가 없는 플랫폼으로 고려되는 유튜브를 넣었습니다. 왜일까요? 유튜브를 많이 보기 때문에? 맞습니다.
10대들은 TV보다 유튜브를 더 많이 시청한다는 보고서도 있었습니다. 최근에는, 스마트 TV에 필수적인 요소도 유튜브입니다.
1) 유튜브를 많이 보면 VOD 결제를 안 할 텐데? 하지만, 그것보단 더 많이 우리 플랫폼에서 머물겠구나가 답입니다.
2) 아직 경쟁자들이 사용하고 있지 않으니,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될 듯합니다.
디쉬처럼 독점 콘텐츠(선데이 나잇)도 없고 콘텐츠 사업자들 간의 관계도 좋지 않은 사업자인 디쉬가 살아가는 방법은 결국 시장엔 악영향이지만, 자신들이 살아남기 위한 전략을 구축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모두 My Way 길을 간다.
이제 AT&T와 타임워너는 콘텐츠와 플랫폼의 연합 플레이를 본격적으로 시작합니다.
1) 디렉티비는 40대 이상의 플랫폼으로 그리고 디렉티비 나우는 30대 이하를 위한 디스럽티브 모바일 티브이 플랫폼이 될 것
2) 채널을 그대로 가지고 와서 모바일로 틀지는 않을 것. 단순한 스키니 번들은 지양. 새로운 방송 서비스가 모바일에서 등장할 듯
3) 채널과 연동하는 다양한 프로그래머블 광고도 시장이 열릴 듯 (컴캐스트의 지향점이기도 했습니다)
4) AT&T는 이제 플랫폼 자체 플레이가 가능 아시아에서 잔뼈가 굵은 OVP인 Quickplay를 지난 6월에 인수. 콘텐츠를 가지고 글로벌 확장이 가능해짐
5) AT&T, 디렉티비의 시청률 데이타를 통해, 콘텐츠 제작에도 활용할 수 있음
지속적인 새로운 새대에 혁신적인 시도를 할 것으로 보입니다.
Chernin을 인수 담당으로 이야기를 한 이유가 있을 것입니다.
아시다시피 이 친구가 대표로 있는 ‘Chernin Group’은 AT&T의 Fullscreen, Crunchroll, Ellation 등 글로벌 콘텐츠 비즈니스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밀레니얼스, 지 제너레이션(유튜브 세대)을 위한 콘텐츠 전략을 담당하고 있지요.
타임워너의 인수로 그들을 모바일 미디어 전략에 더 힘 쓸 것으로 보입니다. 1억 명의 가구를 상대했던 TV 비즈니스는 가구에서 가족 구성원인 3억으로 확대되고 있고 이제 그들은 70억 명을 상대로 하는 비즈니스를 상상하기 시작했습니다.
“앞으로 100년 뒤의 미래를 보자”
그들이 고민하는 것은 바로 앞의 미래가 아닌 1885년에 창립한 회사처럼, 앞으로 먼 미래를 보고 투자한 듯합니다.